퍼니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니 게임은 미하엘 하네케가 감독한 1997년 오스트리아 영화이다. 중산층 가족이 호숫가 별장에서 겪는 고통스러운 사건을 다루며, 두 명의 젊은이가 가족을 인질로 잡고 가학적인 게임을 강요한다. 이 영화는 폭력적인 장면과 4차원의 벽을 깨는 연출을 통해 미디어 폭력과 관객의 역할을 비판하며, 개봉 당시 논란을 일으켰다. 2007년에는 하네케가 직접 연출한 미국 리메이크작이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스릴러 영화 - 히든 (2005년 영화)
미하엘 하네케 감독의 프랑스-오스트리아 합작 영화 히든은 파리의 텔레비전 앵커 조르주 로랑이 익명의 비디오 테이프를 받으면서 시작되는 이야기를 통해 감시, 죄책감, 집단 기억 등의 주제와 그의 과거, 프랑스의 식민주의 역사를 탐구하며 2005년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고 비평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 오스트리아의 스릴러 영화 - 클럽 제로
제시카 하우스너 감독의 2023년 영화 《클럽 제로》는 엘리트 학교 교사 노박과 학생들의 관계를 통해 간헐적 단식의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나 섭식 장애 관련 논란이 있다. - 미하엘 하네케 감독 영화 - 해피 엔드 (2017년 영화)
미하엘 하네케 감독의 2017년 영화 《해피 엔드》는 프랑스 부유한 가족 로랑 가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 간 소통 부재, 부의 불평등, 유럽 난민 위기 등 현대 사회 문제점을 드러내는 작품이다. - 미하엘 하네케 감독 영화 - 늑대의 시간 (2003년 영화)
미하엘 하네케 감독의 2003년 영화 《늑대의 시간》은 알 수 없는 재앙으로 사회 시스템이 붕괴된 유럽에서 로랑 가족의 생존 투쟁을 그린 작품으로, 이자벨 위페르 등이 출연했으며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 상영 및 시체스 영화제 각본상 수상, 사회 붕괴 속 인간 본성 탐구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오스트리아의 드라마 영화 - 우연의 연대기에 관한 71개의 단편
1993년 빈 은행 총기 난사 사건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묘사하며 폭력의 일상화, 사회적 무관심, 소외된 사람들의 절망과 같은 현대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내는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1994년 영화가 《우연의 연대기에 관한 71개의 단편》이다. - 오스트리아의 드라마 영화 - 하얀 리본
《하얀 리본》은 미하엘 하네케 감독의 2009년 영화로, 1913년 독일 북부 마을에서 일어나는 기이한 사건들을 흑백 화면으로 담아 권위적인 사회 구조 속 폭력과 억압을 그린 작품이다.
퍼니 게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Funny Games |
감독 | 미하엘 하네케 |
제작 | 파이트 하이두슈카 |
각본 | 미하엘 하네케 |
출연 | 주자네 로타어 울리히 뮈헤 아르노 프리슈 프랑크 지에링 슈테판 클라프친스키 |
촬영 | 위르겐 위르게스 |
편집 | 안드레아스 프로차스카 |
음악 | 존 존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제작 정보 | |
제작사 | 오스트리아 방송 협회 |
배급사 | 콩코드-캐슬 록/터너 시네카논 |
개봉 정보 | |
최초 개봉 | 1997년 5월 14일 (칸) |
미국 개봉 | 1998년 3월 11일 |
일본 개봉 | 2001년 10월 20일 |
기술 정보 | |
상영 시간 | 109분 |
언어 | 독일어 프랑스어 |
제작 국가 | |
국가 | 오스트리아 |
2. 줄거리
오스트리아의 한 중산층 가족인 게오르그 쇼버와 그의 아내 안나, 그리고 아들 게오르기는 호숫가 별장으로 휴가를 떠난다. 차를 몰고 가는 길에 이웃 프레드와 에바 베를링거 집에 두 명의 낯선 젊은이가 함께 있는 것을 보지만, 그들을 알아보지 못한다. 가족이 별장에 도착하여 정착하는 동안, 안나는 저녁 식사 준비를 시작하고 게오르그와 아들 게오르기는 다음 날의 세일링을 위해 보트 설치를 시작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베를링거와 함께 있던 두 청년 중 한 명인 페터가 안나를 찾아와 달걀을 빌려달라고 한다.
페터는 계속해서 달걀을 깨뜨리고 가족의 전화를 싱크대에 빠뜨리는 등 겉으로는 우연처럼 보이지만, 점차 환영받지 못하는 행동을 한다. 곧이어 다른 청년인 파울이 도착하고, 게오르그의 골프채 중 하나를 사용해 보겠다고 한다. 파울이 골프채를 들고 밖에 있는 동안, 게오르그는 롤피(애완견)의 짖는 소리가 갑자기 멈추는 것을 듣는다. 피터와 폴이 안나의 호의를 교묘하게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안나는 그들에게 떠나라고 요구한다. 게오르그가 도착하여 그들을 쫓아내려고 하자, 피터는 게오르그의 골프채로 그의 다리를 부러뜨린다. 폴은 롤피를 죽였다고 밝히고, 안나에게 잔혹한 숨은 그림 찾기 게임으로 조롱하며 개의 시체를 찾을 때까지 괴롭힌다. 곧 두 남자가 가족을 인질로 잡았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이웃인 게르다와 로버트가 보트를 타고 가족의 부두에 도착하고, 안나는 폴의 안내에 따라 그들을 맞이하며 폴을 가족 친구로 소개한다. 몇 시간 동안, 피터와 폴은 가족에게 가학적인 게임을 강요한다. 폴은 가족이 다음 날 아침 9시까지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내기를 제안하고, 고문 중간중간에 제4의 벽을 깨는 행동을 보인다. 그는 피터의 과거에 대한 모순된 이야기를 하거나 그의 몸무게와 지능 부족을 비웃는 뒤틀린 역할극을 한다. 그들의 기원이나 동기에 대한 설명은 제공되지 않으며, 심지어 그들의 이름조차 가명일 수 있는데, 가끔 서로를 톰과 제리 또는 비비스와 버트헤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폴은 게오르기의 머리에 베갯잇을 씌우고 게오르그에게 안나에게 옷을 벗으라고 강요한다. 안나가 옷을 벗자, 다시 옷을 입으라는 말을 듣는다. 게오르기는 프레드의 집으로 도망치지만, 시시의 시체를 발견하고 좌절한다. 폴은 게오르기를 다시 집으로 데려오고, 산탄총과 탄약을 가져온다. 피터는 폴이 부엌에서 샌드위치를 만드는 동안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 숫자 세기 놀이를 한다. 게오르기는 공포에 질려 도망치고, 그 결과 피터가 그를 쏜다. 폴은 피터에게 경솔하다고 꾸짖고, 두 남자는 잠시 떠난다.
게오르그와 안나는 슬픔에 잠기지만, 결국 살아남기로 결심한다. 안나는 집에서 도망치고, 다리가 부러진 게오르그는 고장 난 전화를 고치려 한다. 안나는 도움을 구하려 하지만, 피터와 폴에게 다시 붙잡힌다. 또 다른 가학적인 게임 도중, 안나는 산탄총을 잡고 피터를 죽인다. 그러나 폴은 리모컨을 찾아 ''퍼니 게임'' 자체를 되감아, 방금 일어난 사건을 "되돌려" 피터의 죽음을 막는다. 폴은 게오르그를 쏘고, 두 남자는 다음 날 아침 일찍 안나를 가족의 보트에 태운다. 오전 8시경, 폴은 무심하게 묶인 안나를 물에 밀어 넣어 익사시켜 내기에서 이긴다. 두 남자는 게르다의 집에 도착하여 문을 두드리고 달걀을 좀 달라고 부탁한다. 폴은 뒤돌아보고 청중에게 의미심장한 눈길을 보낸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3. 2. 조연
4. 제작진
- 미술: 크리스토프 캔터[6]
- 의상: 리지 크리스틸[6]
- 감독·각본: 미하엘 하네케[6]
- 제작: 파이트 하이두슈카[6]
- 촬영: 위르겐 율게스[6]
하네케는 미국을 배경으로 영화를 만들고 싶어 했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오스트리아를 배경으로 해야 했다.[6] 미하엘 하네케가 연출한 2007년 미국 리메이크는 소품과 톤을 포함하여 동일한 집을 사용하였다.[6] ''시네아스트''의 로버트 코엘러는 "그가 1997년 버전에서 훌륭한 촬영 감독 위르겐 율게스를 사용하든, 새로운 영화에서 훌륭한 다리우스 콘지를 사용하든, 하네케는 근본적으로 자신의 영화의 전체적인 모습을 상당 부분 통제하는 자신만의 촬영 감독임을 확실히 증명한다"고 적었다.[6]
5. 주제
영화는 허구와 현실 사이의 경계를 자주 모호하게 만들며, 특히 관찰 행위를 강조한다. 등장인물인 폴은 영화 전체에서 다섯 번이나 4차원의 벽을 깨고 다양한 방식으로 카메라에 말을 건다.[4] 그는 안나에게 죽은 개를 찾으라고 지시하면서 뒤돌아 카메라를 향해 윙크하고 비웃는다. 그는 가족에게 그들의 생존에 돈을 걸라고 요청하면서 카메라를 바라보며 관객에게도 돈을 걸겠냐고 묻는다. 영화 마지막에 다음 가족에게 달걀을 요구할 때, 그는 카메라를 보고 다시 비웃는다. 하네케는 관객에게 말을 걸면서 관객들이 공범임을 인식하게 만든다. 작가 조안나 부르크는 이러한 4차원의 벽 깨기를 통해 "관객들은 폭력과 타인의 고통에 둔감해진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다.[4]
폴은 또한 영화 플롯 전개의 기준을 따르겠다는 의도를 자주 말한다. 그는 관객에게 돈을 걸라고 하면서 관객들이 가족이 이기기를 원할 것이라고 추측한다. 살인자들이 3막에서 사라진 후, 폴은 희생자들에게 탈출할 마지막 기회를 주어야 드라마틱해진다고 설명한다. 영화 후반부에서 그는 영화가 아직 장편 영화 길이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머지 가족을 죽이는 것을 미룬다. 영화 전체에서 폴은 관객의 기대를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폴은 또한 여러 번 영화가 관례를 거스르게 한다. 공포 영화와 스릴러 영화에서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한 명의 주인공이 보통 살아남지만, 여기서는 가족 세 명 모두가 죽는다. 안나가 피터를 성공적으로 쏴서 가족의 영웅적인 탈출을 시작할 수 있을 때, 폴은 리모컨을 사용하여 영화 자체를 되감고 그 사건을 무효화한다. 피터가 게오르기를 쏜 후, 폴은 아이를 먼저 죽인 것에 대해 그를 꾸짖는데, 이는 관례에 어긋나고 스토리라인에 남아있는 서스펜스를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영화 마지막에 살인자들은 안나가 배에서 칼을 사용하여 묶인 밧줄을 자르는 것을 막는다. 이전의 클로즈업은 마지막 장면의 탈출을 위한 설정으로 칼의 위치를 보여주지만, 이것은 미끼로 밝혀진다. 영화 마지막에 폴은 다시 승리한 듯이 관객을 향해 비웃는다. 자기 인식이 있는 인물로서, 그는 관객의 기대를 뒤엎고 승리할 수 있다.
안나를 죽인 후, 피터와 폴은 현실과 허구의 경계에 대해 논쟁한다. 폴은 관찰된 허구는 다른 어떤 것만큼이나 현실적이라고 믿지만, 피터는 이 생각을 일축한다. 폴과 달리, 피터는 자신이 영화 속 인물이라는 것을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
하네케는 ''퍼니 게임''이 공포 영화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폭력적이지만, 그 외에는 무의미한 영화를 만들어서 미디어 속 폭력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의 짧은 에세이 "폭력 + 미디어"는 그 문제에 대해 그가 어떻게 느꼈는지를 밝히고 있으며, 책 ''A Companion to Michael Haneke''의 한 챕터로 포함되어 있다.[5]
영화 학자 브리짓 페커는 이 영화가 "관객을 공격하는" 기능을 한다고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겉으로는, ''퍼니 게임''은 스티븐 프린스의 책임감 있는 영화 제작 아이디어를 예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프레임 밖을 직접 쳐다보는 것과 같은 모더니즘적 전략을 통해, 영화 관객과 서사 속에 묘사된 살인자 사이의 공모 관계를 구축한다. 따라서, 그것은 공격적인—말하자면 가학적인—자세를 관객에게 취한다."
5. 1. 미디어 폭력과 관객의 책임
영화는 허구와 현실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며, 특히 등장인물 폴이 여러 차례 제4의 벽을 깨고 카메라를 보며 관객에게 말을 거는 장면이 이를 보여준다. 폴은 가족의 생존에 돈을 걸겠냐고 관객에게 묻거나, 영화의 결말에 대해 언급하면서 관객의 기대를 인지하고 있음을 드러낸다.[4] 조안나 부르크는 이러한 연출이 "관객들이 폭력과 타인의 고통에 둔감해진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다.[4]폴은 영화의 관례를 따르는 척하면서도, 동시에 이를 뒤엎는 행동을 한다. 공포 영화나 스릴러 영화에서 흔히 등장하는 최종 생존자가 이 영화에서는 모두 죽고, 안나가 피터를 쏴서 탈출할 기회를 얻는 순간 폴은 리모컨으로 영화를 되감아 사건을 무효화한다. 이러한 장면들은 관객의 기대를 배반하며, 미디어 속 폭력의 관습적인 전개에 의문을 제기한다.
하네케 감독은 ''퍼니 게임''을 통해 미디어 속 폭력의 무분별함과 그에 대한 관객의 책임감을 묻고자 했다. 그는 "폭력 + 미디어"라는 에세이에서 이 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기도 했다.[5] 영화 학자 브리짓 페커는 이 영화가 "관객을 공격하는" 기능을 하며, 관객과 살인자 사이의 공모 관계를 구축한다고 주장한다.
5. 2. 현실과 허구의 경계
파울은 영화의 규칙을 따르는 척하면서도, 동시에 관습을 거스르는 행동을 보인다.[4] 그는 관객의 기대를 예측하고, 때로는 그 기대를 배반하며 영화의 흐름을 조종한다. 안나가 피터를 쏘는 장면에서 리모컨으로 영화를 되감는 장면은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대표적인 예시이다.영화는 허구와 현실 사이의 경계를 자주 모호하게 만들며, 특히 관찰 행위를 강조한다. 등장인물인 폴은 영화 전체에서 다섯 번이나 4차원의 벽을 깨고 다양한 방식으로 카메라에 말을 건다.[4] 그는 가족에게 그들의 생존에 돈을 걸라고 요청하면서 관객에게도 돈을 걸겠냐고 묻는다. 영화 마지막에 다음 가족에게 달걀을 요구할 때, 그는 카메라를 보고 다시 비웃는다. 작가 조안나 부르크는 이러한 4차원의 벽 깨기를 통해 "관객들은 폭력과 타인의 고통에 둔감해진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다.[4]
폴은 영화 플롯 전개의 기준을 따르겠다는 의도를 자주 말한다. 그는 관객에게 돈을 걸라고 하면서 관객들이 가족이 이기기를 원할 것이라고 추측한다. 살인자들이 3막에서 사라진 후, 폴은 희생자들에게 탈출할 마지막 기회를 주어야 드라마틱해진다고 설명한다. 영화 후반부에서 그는 영화가 아직 장편 영화 길이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머지 가족을 죽이는 것을 미룬다.
그러나 폴은 또한 여러 번 영화가 관례를 거스르게 한다. 공포 영화와 스릴러 영화에서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한 명의 주인공이 보통 살아남지만, 여기서는 가족 세 명 모두가 죽는다. 안나가 피터를 성공적으로 쏴서 가족의 영웅적인 탈출을 시작할 수 있을 때, 폴은 리모컨을 사용하여 영화 자체를 되감고 그 사건을 무효화한다. 피터가 게오르기를 쏜 후, 폴은 아이를 먼저 죽인 것에 대해 그를 꾸짖는데, 이는 관례에 어긋나고 스토리라인에 남아있는 서스펜스를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영화 마지막에 살인자들은 안나가 배에서 칼을 사용하여 묶인 밧줄을 자르는 것을 막는다. 이전의 클로즈업은 마지막 장면의 탈출을 위한 설정으로 칼의 위치를 보여주지만, 이것은 미끼로 밝혀진다.
안나를 죽인 후, 피터와 폴은 현실과 허구의 경계에 대해 논쟁한다. 폴은 관찰된 허구는 다른 어떤 것만큼이나 현실적이라고 믿지만, 피터는 이 생각을 일축한다. 폴과 달리, 피터는 자신이 영화 속 인물이라는 것을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
6. 평가
《퍼니 게임》은 개봉 당시 엄청난 논란과 비판을 불러일으켰다.[14][15] 1997년 칸 영화제에서는 관객의 3분의 1이 상영 도중 퇴장했으며,[8] 일부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혐오스럽다", "쓰레기"라고 혹평했다.[7] 특히 영화 감독이자 평론가인 자크 리베트는 인터뷰에서 "수치", "혐오스러운", "완전한 쓰레기"라고 강하게 비난했다.[7] 런던에서는 비디오 발매 금지 운동까지 일어났다.[16]
그러나, 유럽과 영어권 평론가들은 슬래셔 영화를 배경으로 비평을 하며, "경탄과 함께 온건한 형태의 분노를 표출"하기도 했다.[6] 시간이 지나면서 영화의 혁신적인 연출과 미디어 폭력에 대한 메시지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40명의 평론가 리뷰를 기반으로 73%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7.2/10이다.[9] 메타크리틱에서는 10명의 평론가 리뷰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69점을 받아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냈다.[10] ''버라이어티''의 데이비드 루니는 "이 영화는 충격적이고 불쾌하지만, ... 하네케의 연출은 통제되고 날카롭다"고 평가했다.[11]
폭력적인 장면이 의도적으로 비춰지지 않는 점이나, 범인이 영화를 감상하는 관객에게 때때로 신호를 보내거나 말을 거는 메타픽션 연출 등도 특징으로 꼽힌다. 메인 음악은 존 존의 「Bonehead」와 「Hellraiser」이다.
7. 논란
《퍼니 게임》은 폭력적인 장면과 가학적인 설정으로 인해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영화 속에서 파울과 페터가 쇼버 가족에게 가하는 고문과 폭력은 관객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14][15] 일부 비평가들은 이 영화가 폭력을 미화하고, 관객들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준다고 비판했다.
유럽과 영어권 평론가들은 Cineaste의 로버트 쾨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영화가 전복하려는 미국 슬래셔 영화를 배경으로 비평을 했으며" "경탄과 함께 온건한 형태의 분노를 표출했다".[6] 영화 감독이자 평론가인 자크 리베트는 인터뷰에서 이 영화에 대한 불만을 분명히 드러내며, "수치", "혐오스러운", "완전한 쓰레기"라고 불렀다.[7] 1997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을 때, 관객의 3분의 1이 퇴장했다.[8]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40명의 평론가 리뷰를 기반으로 73%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7.2/10이다. 메타크리틱에서, 이 영화는 10명의 평론가 리뷰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69점을 받았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낸다.[10]
''버라이어티''의 데이비드 루니는 "이 영화는 충격적이고 불쾌하지만, 이와 같은 소재가 종종 그럴 수 있는 것처럼 진정으로 피부 아래로 파고들지는 못한다. 하네케의 접근 방식에 의해 제기되는 어떤 주저함이든, 그의 연출은 통제되고 날카롭다."라고 썼다. [11] 칸 영화제 출품 당시, 그 처참함에 빔 벤더스 감독이나 평론가, 관객들이 충격을 받아 자리를 떴다고 한다.[14][15] 런던에서는 비디오 발매 금지 운동까지 일어났다.[16]
폭력적인 장면이 의도적으로 비춰지지 않는 점이나, 범인이 영화를 감상하는 관객에게 때때로 신호를 보내거나 말을 거는 메타픽션 연출 등도 특징이다.
8. 리메이크
미하엘 하네케 감독은 2007년 할리우드에서 《퍼니 게임》을 직접 리메이크한 《퍼니 게임 U.S.A.》를 발표했다.[13] 이 영화는 원작과 동일한 장면 구성과 연출을 따랐으며, 나오미 왓츠, 팀 로스, 마이클 피트 등이 출연했다.[13]
참조
[1]
웹사이트
Funny Games (1997)
https://www.allmovie[...]
2019-05-27
[2]
웹사이트
"''Funny Games'' (18)"
http://www.bbfc.co.u[...]
1998-03-13
[3]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Funny Games
https://web.archive.[...]
2009-09-21
[4]
논문
Elaine Scarry, Michael Haneke's Funny Games and the Structure of Cruelty
2019-09
[5]
서적
Violence and the Media
Wiley-Blackwell
2010
[6]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www.cineaste.[...]
2013-10-12
[7]
웹사이트
The Captive Lover - An Interview with Jacques Rivette
http://sensesofcinem[...]
Senses of Cinema
1998-03-25
[8]
웹사이트
Palme d'Or winner Michael Haneke: cruel to his characters and to us
https://www.telegrap[...]
2009-06-08
[9]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www.rottentom[...]
1998-03-11
[10]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s://www.metacrit[...]
[11]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s://variety.com/[...]
1997-05-25
[12]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s://www.criterio[...]
[13]
간행물
Funny Games
https://ew.com/artic[...]
2008-03-12
[14]
웹사이트
Funny Games (1997) - Trivia - IMDb
https://www.imdb.com[...]
[15]
웹사이트
http://hk-magazine.c[...]
[16]
웹사이트
http://www.cinemato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